본문 바로가기
1. 세무사시험 이야기

세무사 공부가 지쳤다면 세무직 9급 입사도 괜찮다

by CPA 프로개꿀러★ 2023. 7. 2.

 

세무사 시험의 인기가 매년 높아지고 있습니다. 직장인보다는 전문직이 괜찮다는 인식이 강해져서 대학 입시만 하더라도 의치한약수를 모두 돌고 서울대를 선택하는 현 체제가 확고해졌죠. 문과에서는 변호사, 회계사가 주류가 되었으며 직장인들에게는 세무사 준비가 트렌드처럼 자리잡았습니다. 물론 세무사를 준비하는 전업 학생들도 많지만요.

세무사 취득이 어렵다면 세무직 9급 노려보기
세무사 시험이 잘 안된다면 세무직 입사를 노려보자


생각보다 쉽지 않은 세무사 시험

최근 10년 사이의 응시자수 변화

세무사 시험은 제가 수험생이었던 시절과 다르게 매년 지원자 수가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 제가 수험생이던 10년 전, 즉 2013년에는 접수자 수가 8,350명이었으나 2023년 현재는 접수자가 16,817명입니다. 무려 2배나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3년과 2023년의 세무사 1차 시험 합격률 비교>

구 분 대상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3년(50회) 8,350 7,218 2,196 30.4%
2023년(60회) 16,817 13,678 2,164 15.72%
증감 8,467 6,460 -32 14.68%

다만 위에 보듯이 이번 시험은 어려워서 합격자 수가 전년대비(2022년 1차 합격자 4,678명) 많이 줄었습니다.   

 

 

세무사시험이 안되면 플랜B는?

공인회계사시험은 플랜B라고 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은 편입니다. 우선 세무사 시험부터 시작해서 금융공기업시험 등 일반 취업에 뛰어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무사 시험은 플랜B라고 생각할 수 있는 선택지는 실질적으로 세무직 7급 또는 세무직 9급 밖에 없습니다. 일반 취업으로 돌리기에는 세무사 시험의 시험 범위가 범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빠른 세무직 9급 입사도 괜찮다

세무사 시험을 계속 치고 있음에도 시험에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절망만 하기 보다 세무직 9급 입사를 시도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물론 세무직 7급으로 들어가는 편이 더 낫겠지만 빠르게 돌린다고 할 때에는 현재 회계와 세법이 필수가 되어 있는 세무직 9급으로 시험을 쳐서 들어간 후 장기 플랜으로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회계와 세법을 오래 공부한 수험생이 세무직 9급 시험을 치른다면 생각보다 수험기간이 짧을 수 있고, 합격한 뒤에도 합격 성적이 아닌 연수원 성적 등으로만 발령지가 정해지는 현 제도 내에서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무직 9급으로 들어가 서울청 소속으로 발령을 받은 후 시간을 두고 세무사를 응시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세무사를 따는게 가능한가요?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당연히 가능합니다. 대부분 세무사 시험 1차가 면제되는 10년을 기다렸다가 세무사 준비를 하는 경우게 많습니다만, 머리 회전이 빠른 20~30대에 세무사 1차 시험부터 준비하시는 분들도 꽤 많고 합격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습니다. 일부는 지방국세청에서 근무하면서도 합격하는 것을 보았으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직장을 다니면서 세무사 시험을 치르는 것은 미래가 불확실한 수험생 신분으로 시험을 치는 것과는 느낌이 많이 달라 오히려 준비하기에 더 편할수도 있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세무사를 따면 경력 인정은 어떻게 되나요?

세무직 7급 또는 9급을 다니면서 세무사를 따게 되면 추후 법인이나 다른 회사로 나갈 때 공무원으로 근무했던 경력을 모두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세무직 특성상 7~9급까지는 세적이라던지 총괄업무의 차이만 있을 뿐 각자가 담당자가 되어 업무를 하는 구조기 때문에 급수 차이가 경력 인정의 차이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차이가 나는 부분은 지방국세청 근무를 했는지 또는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정도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무직 7, 9급 사이에서 고민되는 분들에게

세무사님께서 7, 9급 중 어떤 루트로 입직하는게 좋을지를 궁금해하셔서 답변 겸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당연히 7로 들어오는게 더 좋겠지만 어차피 공직생활을 몇 년 안할거라면 9도 괜찮지

prohoneypotowner.tistory.com

공무원으로 들어오면 단점은 무엇인가요?

잘 아시다시피 공무원은 적은 급여가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민간의 급여가 많이 오른 상황에서 공무원 급여는 거의 오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입직을 하게 되시면 급여가 너무 적어 당황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글의 대상은 세무사 시험이 잘 되지 않아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준비한 것이니 만큼 적은 급여가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시험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자기에게 맞는 때가 있습니다. 그 때가 잘 찾아오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이 시험을 못이겨내는 사람이라고는 생각하시지 말고 플랜B를 통해 잠시 후퇴 뒤 다시 준비하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포스팅

 

(세무공무원 이직 시기) 10년 근무 후 퇴직 vs 20년 이상 근무 후 퇴직의 차이에 관하여 (feat. 이직

오늘은 세무공무원 이직 시점에 관한 포스팅을 하려합니다. 직장인들은 누구나 퇴사를 꿈꾸지만 막상 누군가가 "너 당장 퇴사하고 이직해."라고 말한다면 그렇게 쉽게 용기가 나지 않는 것이 현

prohoneypotowner.tistory.com

 

 

7무사 또는 7급 세무직들의 서울청 무적론에 대하여

세무직 신규의 입장에서는 첫 소속을 서울지방국세청(이하 '서울청'이라 함)소속으로 발령 받는 것에 굉장히 민감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인 즉슨 서울청으로 처음 발령이 나면, 그 후

prohoneypotowner.tistory.com

 

 

이직한 세무공무원은 법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법인으로 이직한 세무공무원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물어보시는 사람들이 많으셔서, 주변에서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세무공무원 이직 시기) 10년 근무 후 퇴직 vs 20년

prohoneypotowne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