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11

[세무사 발표]제56회 세무사 자격시험 최종합격자 발표!!(724명 최종 합격)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오늘 오전 9시에 드디어 56회 뉴비 세무사분들이 탄생하셨네요. 정말 축하드립니다. 그동안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을 묵묵히 지나가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고 이제 근심걱정은 잠시 묻고 합격의 기쁨을 마음껏 즐기셔도 됩니다. 산공단에 올라온 합격자 명단과 공고만 간단히 올려드리고 보완은 추후 다시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합격자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큐넷 세무사 홈페이지에서 별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2019. 11. 13.
[일상 생각] 미래를 시뮬레이션 해보는 습관이 생긴 이유와 장단점 소개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제가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방이니, 제 이야기를 좀 하겠습니다. 저는 예전부터 제 스스로의 미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여러가지 변수를 넣어서 자주해보는 편입니다. 예전에 바둑을 했을 때 상대방이 여기놓으면 저기놓고 하는 방식으로 수를 읽는 버릇이 들어 현실에서도 그런 습관이 생겼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정말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는 편입니다. (A안) '이렇게 했을 때 내 미래는 이렇게 될거고, 대충 이 정도 결과가 나오겠네.' 라는 생각을 해서 그게 썩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생각을 해보죠. (AA안) '이건 별로니까 다른 걸 하면 저렇게 될거고, 저 정도 결과가 나오겠군. 이건 괜찮은 것 같네. 고고.' 이런식으로요.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2019. 11. 11.
[업무처리 꿀팁] (세무)공무원은 어떤 기준으로 업무처리를 할까?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오늘은 이제 현직이 되실 (예비)신규공무원에게 간단한 팁을 알려드리는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이 입사를 하시고 부서에 배치 받으면 주변에서 업무처리를 어떻게 하는지 짬이 나는대로 조금씩 도와주실 거에요. 그런데, 그 분들도 하시는 일이 있다보니 눈치가 보여서 기본적으로는 홀로 헤쳐나가야 합니다. 그럴 때 기준을 삼아야하는 게 2가지가 있는데요.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세무공무원을 기준으로 말씀드리지만 일반직 공무원분들도 기본적인 프로세스는 같습니다. 1. 업무별 사무처리규정(혹은 지침) = 훈령 공무원은 법령에 의해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실적으로 법령에 모든 것들을 세세하게 담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시행령에 보시면, '기타의 사항은 .. 2019. 11. 10.
[시험 진입 시기] 언제 전문직 시험에 진입하는게 적당할까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어제 동기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면서 문득 생각이 든게 '얘가 CPA를 4차로 끝냈지만 나이가 많지 않아서 다행이다.' 라는 것이었죠. 제 동기들은 제가 엄청나게 푸시했기 때문에^.^;; 일찌감치 시험에 뛰어들었습니다. 남자애들이 전역을 하고 돌아오면 23~24살인데, 그 때 시험준비하라고 계산기 쥐어주고 뛰어들어서 26~28살 안에 다 끝냈죠. 보통 남자들이 무리없이 대기업에 취준을 하는 때가 28~30까지라고 한다면 제 동기들이 만약 떨어졌다 하더라도 취준하기에 적당한 나이에요. 그렇다면 내가 일찍 시험 준비하지 못한 사람들은 과연 도전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것이냐? 라고 물으신다면 저는 "아니다"라고 대답해드립니다. 인생을 길게 살진 않았지만 저도 나름 20대 .. 2019. 11. 10.
[공무원 시험 일정] 2020년 공무원 시험 일정 확정(국가직, 지방직)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저번 포스팅으로 내년 공무원 채용규모가 많을 것이라 예상된다고 말씀드렸었죠? 드디어 내년 공무원 시험 일정이 모두 확정되었습니다. 국가직 공무원부터 빠르게 살펴보실게요. 언제 시험을 치는지 알아야 그 일정에 맞춰서 공부를 할 수 있으니 감히 공무원 시험 공부의 첫 걸음이라 할 수 있죠. 상세 내역도 확인해 보실게요. 헉, 9급 공무원 시험 일정이 평소보다 너무 빠른데요. 9급 공무원은 보통 4월에 시험을 쳤으나 올해는 3월에 치는군요. 아마 총선이랑 일정이 맞물리니 좀 당겨서 치르는게 아닐까 합니다. 2020년 이후 공무원 채용규모는 새롭게 선출되시는 국회의원님들의 의중에 달려있어 늘어날지 줄어들지 장담할 수 없으니 내년 분위기 좋을 때 꼭 수험생 생활을 청산하시길 .. 2019. 11. 8.
[세무공무원 정보] 세무직 7급의 무게감(feat. 재산등록의무자 등) 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제가 제목을 세무직 7급의 무게감이라고 적어 놓았지만 사실 세무직 7급 이상 공무원으로 임용되거나 승진을 했을 때 불편한 점?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1. 재산등록의무자 (7급 이상) 여러분들이 7급 세무직 공무원에 합격하여 국세청에 입사하시면 제일 먼저 하시는 것은 재산등록입니다.재산등록을 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데요. 공직자윤리법에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직자윤리법 같이 살펴보시죠. 공직자윤리법 제3조(등록의무자)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직자(이하 "등록의무자"라 한다)는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재산을 등록하여야 한다. 1. 대통령ㆍ국무총리ㆍ국무위원ㆍ국회의원 등 국가의 정무직공무원 2.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의회의원 등 지방자.. 2019.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