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PA 프로개꿀러입니다. 2020년이 되서 봉급이 얼마나 올라가셨는지는 다들 확인하셨을텐데, 초과근무수당도 얼마인지 알려달라는 요청이 많아 별도로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어떤 규정을 근거로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하고 있는지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https://blog.kakaocdn.net/dn/bGQazf/btqARx3hKrt/1IwKFDBJXt1Qry5QZAAfX0/img.png)
공무원들의 봉급 등은 모두 (지방)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지급되고 있습니다. 공무원보수규정에 보면,
공무원보수규정 제31조(수당의 지급) ① 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봉급 외에 필요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의 종류, 지급범위, 지급액, 그 밖에 수당 지급에 필요한 사항은 따로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 3. 31.] |
예산의 범위에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고 나와있구요. 초과근무수당도 이 수당의 일종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시간외근무수당인데요.
공무원보수규정 시행령 제15조(시간외근무수당) ① 근무명령에 따라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사람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한다. 다만,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33의 일반임기제공무원 중 연봉등급 1호부터 4호까지 해당자와 제7조제1항 단서에 해당되는 사람에게는 이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3. 12. 11.> ② 시간외근무수당은 매 시간에 대하여 해당 공무원에게 적용되는 기준호봉의 봉급액(군인 중 소위 및 하사의 경우에는 기준호봉의 봉급액에 「공무원보수규정」 제30조의2제3항에 따른 근속가봉의 각각 4배 및 7배를 더한 금액을 말한다)의 55퍼센트[「공무원보수규정」 별표 33의 일반임기제공무원 중 연봉등급 5호부터 9호까지 해당자, 「전문직공무원 인사규정」 제3조에 따른 전문관 및 전문임기제공무원 중 임용등급 나급부터 마급까지 해당자의 경우에는 해당 공무원에 상당하는 경력직 또는 별정직공무원의 상당계급 기준호봉 봉급액(전문임기제공무원 중 임용등급 마급인 공무원은 8급의 기준호봉 봉급액을 적용한다)의 55퍼센트를 말하며, 이하 "봉급기준액"이라 한다]의 209분의 1의 150퍼센트를 지급한다. <개정 2017. 9. 5., 2018. 1. 18., 2019. 1. 8.> ③ 제2항의 기준호봉은 별표 12와 같다. 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1항 본문에 따른 시간외근무수당이 지급되는 근무명령 시간은 1일에 4시간, 1개월에 57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신설 2012. 8. 22., 2013. 3. 23., 2014. 11. 19.> 1.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12조제1호 또는 제2호의 기관에 소속된 공무원으로서 그 근무시간과 근무일이 같은 조에 따라 따로 정하여진 공무원(이하 "현업공무원등"이라 한다)에 대하여 근무시간 외의 근무명령(이하 "시간외근무명령"이라 한다)을 하는 경우 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0조에 따른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라 비상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시간외근무명령을 하는 경우 3. 그 밖의 불가피한 사유로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시간외근무명령을 하는 경우 ⑤ 시간외근무명령에 따라 근무한 시간(이하 "시간외근무시간"이라 한다)은 월(月)별로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방식으로 산정한다. 이 경우 1일 시간외근무시간은 분(分) 단위까지 더하여 월별 시간외근무시간을 산정한 후 1시간 미만은 버린다. <신설 2012. 8. 22.> 1. 현업공무원등: 해당 월의 총 근무한 시간에서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9조제1항에 따른 근무시간과 근무 중 식사ㆍ수면ㆍ휴식 시간 및 휴일근무수당을 지급받은 시간을 뺀 시간. 다만, 식사ㆍ수면ㆍ휴식 시간이 업무상 지휘ㆍ감독 아래 있었다고 소속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는 빼지 아니한다. 2. 제1호에 해당하는 공무원 외의 공무원: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시간을 더하여 산정한 월별 시간외근무시간. 다만, 해당 일(日)의 시간외근무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더하지 아니한다. 가. 공휴일 및 토요일: 해당 일의 시간외근무시간 나. 가목 외의 날: 해당 일의 시간외근무시간에서 1시간을 뺀 시간 ⑥ 제5항제2호의 공무원에게는 제1항에 따른 시간외근무수당 외에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정액의 시간외근무수당을 추가 지급할 수 있다. <신설 2012. 8. 22., 2013. 3. 23., 2014. 11. 19.> ⑦ 소속 장관은 시간외근무수당의 적정한 지급을 위하여 시간외근무수당 지급실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소속 공무원에 대하여 교육을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2.> ⑧ 각급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국가공무원법」 제47조제3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1항의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받았을 때에는 부당 수령액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징수하고, 1년의 범위에서 위반 행위의 적발 횟수에 따라 제1항에 따른 근무명령을 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각급 행정기관의 장은 위반행위를 3회 이상 적발하였을 때에는 관할 징계위원회에 징계의결을 요구하여야 한다. <개정 2012. 1. 6., 2012. 8. 22., 2017. 1. 6.> ⑨ 제1항부터 제8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시간외근무수당 지급방법의 세부 기준과 부당 수령한 경우의 징수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개정 2012. 8. 22., 2013. 3. 23., 2014. 11. 19.> [전문개정 2008. 12. 31.] |
규정 자체는 복잡하게 되어있는데, 설명해드리자면 4급 이상은 초과근무수당이 지급이 되지 않고 관리수당이 지급되며, 5급 이하는 기준 호봉 별도로 정하여 초과근무수당을 계산합니다. 이 때 각 직급별 기준 호봉은 10호봉입니다. 위의 복잡한 산식을 가지고 계산을 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r13Zu/btqAOJqyMr8/mD6LOBH7v2SxcVunrD54Qk/img.png)
위의 표와 같이 계산됩니다. 올해 최저임금이 8,590원인데 9급 초과근무수당이 8,798원이니 살짝 더 많군요. 그래도 되도록 야근하지 마시고 일찍 집에 들어가셔서 여가생활을 잘 누리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그럼 다음번에도 유용한 소식을 가지고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공무원시험 이야기 > 3-2. 공무원 관련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수당] 2020년 공무원 명절휴가비(설, 추석)는 얼마일까? (0) | 2020.09.30 |
---|---|
[공무원 수당] 공무원 육아휴직수당 인상 관련 소식 (0) | 2020.09.01 |
[2020년 공무원 시험일정] 인사혁신처에서 발표한 공무원 선발 관련 분석 2 (0) | 2020.01.01 |
[2020 공무원 선발인원] 인사혁신처에서 발표한 공무원 선발 관련 분석 (1) | 2020.01.01 |
[2020년 공무원 보수표] 12.30. 국무회의 상정될 보수표 미리보기 2부 (0) | 2019.12.29 |
댓글